용접 현장은! 현재 용접현장 문제

현재 용접현장에서는
젊은 신규인력의 부족 , 숙련기능공의 고령화기술 전수의 단절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용접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점

작업자의 부족현상

생산현장에서는 인구감소에 의한 생산인력부족 및 숙련공의 고령화 등에 따라 다수의 인력을 투입하는 기존의 작업방식으로는 당면한 생산량 감소, 비용 증가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품질 불균일성 발생

용접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 및 컨디션, 장비 상태, 환경 조건에 따라 품질이 크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작업자라도 매일매일 용접 작업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장비의 상태에 따라서도 용접 품질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자동화 장비 도입에서의 어려움

생산현장에서는 작업자에 대한 어려움의 해결책으로 용접자동화 도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용접자동화 장비를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오퍼레이터의 용접에 대한 노하우의 부재, 용접불량발생의 실시간 확인이 어려워 수정발생시 대규모의 수정작업이 필요 등 단순한 장비의 도입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고 있지 않습니다.

기초 데이터 부족 및 관리과정의 어려움

기존 용접관리 방식에서는 용접작업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및 관리가 매우 어렵습니다. 여러명이 투입되는 대규모 작업에서 인력투입 확인, 작업진도율 산정, 불량율계산, 생산원가 산정 등 관리에 필수적인 항목을 실질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워 체계적인 품질 관리와 생산관리는 무척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한 시장의 흐름상으로 원청사에서의 제품생산과정의 용접데이터 요구에 따라서 수행하는 관리 비용은 인건비 상승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